총회 범위: 연기된 2020년 총회는 4월 23일부터 5월 4일까지 개최됩니다.

교회 위원회들: 공천위원회

사진: 제자사역부 제공.
사진: 제자사역부 제공.

공천위원회(Nominations and Leadership Development Committee) 목적은 무엇인가?

공천위원회는 “위원회들을 위한 위원회”처럼 기능한다. 이 위원회의 주요 역할은 지역 교회 내 주요 직책에 적합한 지도자들을 찾고 추천하는 것이다.

이 위원회는 교회 리더십 내 결원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교회 위원회와 협력하여 그 역할에 적합한 자격을 갖춘 후보자를 파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새로운 리더십 직책의 생성을 제안할 수 있다. 『연합감리교회 장정』은 이 위원회가 다음 직책들에 대한 후보를 추천할 책임이 있다고 명시한다:

  • 평신도 대표
  • 임원회 의장
  • 목회위원회 위원장 및 일반 위원
  • 재단이사회 위원장 및 일반 위원
  • 재정위원회 위원장 및 일반 위원
  • 공천위원회 부위원장 및 일반 위원
  • 교회의 사역을 지원하기 위해 조직된 기타 리더십 직책

이 위원회는 리더십 후보자 명단을 구역회에 제출하고, 구역회는 지방 감리사와 함께 모이는 연례 회의에서 이를 투표로 결정한다.

공천위원회에는 누가 섬겨야 하는가?

담임 목사와 평신도 대표는 자동으로 이 위원회의 위원으로 섬긴다. 나머지 위원들은 위원회가 직접 선출한다. 담임 목사는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위원회는 평신도 중 한 명을 부위원장으로 추천한다.

이 위원회는 (담임 목사와 평신도 대표를 제외하고) 최대 9명의 위원을 둘 수 있으며, 그중 적어도 한 명은 35세 이하의 청년이어야 한다. 청소년 대표도 위원으로 섬길 수 있다. 모든 위원은 교회의 신앙을 고백하는 등록 교인(professing member)이어야 한다.

위원 선출 시, 위원회는 교회의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연령, 성별, 인종의 구성원을 포함해야 한다. 교회를 잘 알고 있으며, 교우들의 리더십 잠재력을 인식하고 그들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사람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행정, 교육, 멘토링 또는 컨설팅에 경험이 있는 사람은 공천위원회의 귀중한 자산이 될 수 있다.

공천위원회는 얼마나 자주 모이며, 위원들은 임기는 무엇인가?

『장정』은 공천위원회의 모임 빈도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연중 여러 차례 모임을 가져야 한다. 위원회의 업무에는 각 위원회 결원 파악, 후보자 평가, 후보자들의 동의 확보, 그리고 구역회에 추천서를 제출하는 것이 포함된다.

위원회 위원들은 (담임 목사와 평신도 대표 제외) 3년 임기를 섬긴다. 위원회는 스스로 새로운 위원 후보를 추천하며, 이는 구역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위원회 구성은 매년 약 3분의 1씩 교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중 예기치 않게 위원 공석이 생길 경우, 임원회가 그 자리를 채울 사람을 임명한다.

공천위원회 운영을 위한 제안

  • 기도로 시작하라: 모임을 기도로 시작하면 모임의 중심이 잡히고 위원회에 부여된 영적인 목적을 생각하게 된다. 위원회는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이고 성령의 인도를 구한다. 모임을 시작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도 예문을 참조하라. 
  • 임원회와 긴밀히 협력하라: 교회 위원회는 교회 운영의 핵심 조직체로서, 리더십의 공백과 필요를 파악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위원회와 교회 임원회 간의 정기적 통합 모임을 통해 사역을 함께 조율하고, 리더십 개발이 교회 사역 목표와 일치하도록 하라. 구역회 이전에 내년 공천자(리더십 후보자) 명단을 임원회에 제출하고 조언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교회를 알기 위해 노력하라: 위원들은 교회 전체 사역의 범위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부위원장은 각 위원회의 모임에 최소 한 번은 참석해야 하며, 위원들 또한 다양한 교회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예: 급식 사역 자원봉사, 청소년 행사 인솔, 수요 친교 저녁 참석 등). 이는 교회의 여러 사역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리더십 개발을 잊지 말라: 위원회의 역할은 단지 직책을 채우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미래의 지도자들을 양육하고 개발하는 것도 공천위원회의 역할이다. 훈련 기회, 영적 평가, 기타 자료 등을 제공하여 교회 지도자들이 자신의 은사를 발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연합감리교회 자료를 참고하라: 콕스베리(Cokesbury) 출판사는 4년마다 다양한 사역 주제에 대한 지침서 시리즈를 발행한다. 공천위원회의 모든 위원은 『공천위원회 지침서(Guidelines Nominations & Leadership Development)』를 숙지해야 하며, 다른 교회 지도자들의 사역을 지원할 수 있는 적절한 지침서를 연결해 주는 일도 필요하다.
  • 신학적으로 사고하라: 공천위원회의 사역은 영적인 일이다. 위원들은 마치 달란트 비유(마태복음 25:14-30)의 종들처럼 주인의 자산을 불리는 임무를 맡았다. 위원회의 목표는 단순히 리더십 공백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지도자를 배치하고 양육함으로써 교회의 사역을 확장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기사는 2025 1 29 ResourceUMC에서 제작되었습니다. 필립 J. 브룩스는 연합감리교회 공보부의 작가이자 콘텐츠 개발자입니다. 이메일 연락하세요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