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회 범위: 연기된 2020년 총회는 4월 23일부터 5월 4일까지 개최됩니다.

교회력 이해하기

그래픽, 로렌스 글랜스, 연합감리교 공보부.
그래픽, 로렌스 글랜스, 연합감리교 공보부.

연합감리교인들은 — 천주교 신자들 및 많은 개신교 전통들과 함께 — 한 해를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초대교회의 중요한 순간들을 반영하는 여러 시기로 나누어 지킨다. 이것을 교회력 또는 예전력(liturgical calendar)이라고 부른다.

기독교 절기는 여섯 개의 절기(seasons)와 네 개의 주요 성일(holy days)을 포함한다. 성탄절(Christmas Day), 주현절(Epiphany), 부활절(Easter), 오순절(Pentecost)이 그것이다. 성탄절과 주현절은 해마다 같은 날짜인 12월 25일과 1월 6일에 지킨다. 반면, 부활절과 오순절은 항상 주일에 지켜지며, 그 날짜는 음력에 따라 결정된다.


각 성일은 절기 사이의 전환점을 나타내며, 절기마다 그 시기의 영적 의미를 상징하는 예전 색상(liturgical color)이 있다. 교회와 예배 공간은 이 색상들로 장식되며, 교회가 기독교 절기를 따라가는 여정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다음은 대림절(Advent)부터 시작하여, 절기와 함께하는 주요 절기에 대한 간략한 개요이다.

대림절(절기)

대림절은 기독교 교회력의 시작이며, 세속적 달력의 끝과 겹친다. 라틴어 adventus는 “도래”를 의미하며, 대림절은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오신 것을 기념하기 위한 준비의 시기이다.

대림절은 성탄절 이전 네 번째 주일에 시작되며, 보통 추수 감사 직후가 된다. 주일마다 대림환(Advent wreath)에 새 초를 하나씩 켜며, 이는 희망, 평화, 기쁨, 사랑을 상징한다. 성탄 전야에는 대림환 중앙에 위치한 그리스도 촛불이라 불리는 초를 켜면서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한다.

대림절의 색상은 보라색이며, 일부 교회에서는 파란색을 사용하기도 한다. 보라색은 회개와 왕권을 나타내며, 절기의 엄숙함과 왕의 오심을 함께 상징한다. 파란색은 희망과 기대를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대림절은 축하의 시간이지만, 기도로 묵상하고 영적으로 준비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성탄절(성일)

대림절은 12월 25일 예수님의 탄생을 기념하는 성탄절에서 절정에 이른다. 히브리 전통에 따라 많은 교회들이 12월 24일 해 질 무렵부터 성탄을 시작한다. 대부분의 연합감리교회는 성탄절 예배보다는 성탄 전야 예배를 드리며, 성탄절이 주일인 경우에만 별도의 예배로 모인다.

성탄절은 성탄 절기(Christmastide)의 시작이다. 많은 사람들은 이날 가족과 함께 선물을 나누고 축제 음식을 나누며 보낸다.

성탄절(절기)
성탄 절기는 12월 25일부터 시작해 1월 6일 주현절까지 12일간 이어진다. 예전 색상은 금색과 흰색이며, 이는 그리스도의 왕권과 순결을 상징한다.

새해 전야도 이 절기 안에 속하며, 일부 연합감리교회는 하나님께 새롭게 헌신하는 송구영신예배(Watch Night service)를 드린다. 1월 3일에는 많은 이들이 예수님께서 이름을 받으신 날(가톨릭 전통에서는 예수 성명 축일이라 부른다 — 역자 주)을 지킨다. 유대 전통에 따라 예수님의 탄생 8일 후이다(누가복음 2:21). 

주현절 (성일)

1월 6일에 기념되는 주현절(epiphany)은 성탄 절기를 마무리하고 연중 시기(Ordinary Time)의 첫 구간을 시작한다. “나타남”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주현절은 예수님의 나타나심을 기념한다. 오늘날 이 절기는 동방박사의 방문(마태복음 2:1–12)과 관련이 깊지만, 역사적으로는 예수의 세례와 가나 혼인 잔치에서의 첫 기적도 함께 기념했다. 이 사건들은 모두 사람들이 “드러난” 예수님의 정체성, 능력, 신성을 보게 되는 장면들이다.

어떤 문화에서는 주현절에 “열두 번째 밤” 저녁 식사나 왕의 케이크(King Cake)를 준비한다. 케이크 안에는 작은 콩이나 장신구를 숨겨 그리스도를 상징하며, 그것을 찾아낸 사람은 다음 해 행사의 주최자가 되거나 왕관을 쓴다. 이 시기에 가정을 축복하는 기도를 드리는 전통도 있다.

주현절 후 연중 시기(절기)
‘연중 시기’는 기독교 달력의 두 구간을 가리킨다: 주현절과 사순절 사이, 그리고 오순절과 대림절 사이이다. 첫 번째 구간은 보통 1월 중순부터 2월 중순 또는 3월 초까지 이어진다. 예전 색상은 초록색이며, 이는 성장, 생명력, 영적 성숙을 상징한다. “연중(ordinary)”이라고 불리지만 주님의 세례 주일(주현절 다음 주)과 변화산 주일(사순절 전 마지막 주일) 같은 뜻깊은 절기 또한 포함한다. 이 무료 영상을 통해 연중 시기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순절(절기)
사순절은 재의 수요일로 시작하여 부활절까지 40일간(주일 제외) 이어지며, 회개, 자기 성찰, 영적 준비의 절기이다. 사순절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Lent”는 고대 영어로 “봄”을 의미하며, 심고 준비하는 시기이다. 신자들은 기도, 금식, 봉사, 예배로 이 절기를 보낸다. 예전 색상은 보라색이고, 고난주간에는 붉은색이 사용되어 그리스도의 희생을 상징한다.

사순 절기를 시작하는 재의 수요일에는 이마에 십자가 모양으로 재를 그린다. 재는 죽음과 회개의 상징으로,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함을 상기시킨다. 마지막 한 주는 고난주간이라 부르며,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을 기억하는 종려주일, 세족 목요일, 성금요일을 포함한다.

부활절(성일)
부활절은 교회력에서 가장 중요한 날이며,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한다. 춘분 이후 첫 보름달 다음 첫 주일이며, 사순절과 오순절의 날짜도 부활절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부활절은 새 생명과 죽음에 대한 승리를 상징한다. 연합감리교인들은 보통 성찬을 나누고 찰스 웨슬리의 “예수 부활했으니(Christ the Lord Is Risen Today)” 같은 찬송을 부르며, 백합화로 예배당을 장식한다. 예전 색상은 흰색이다.

부활 절기(절기)
부활 절기는 부활절 주일에 시작하여 오순절까지 50일간 이어진다. 색상은 흰색과 금색이며, 부활, 왕권, 영광을 기념한다. 부활 절기는 사순절의 침울한 분위기와는 대조적인 기쁨의 시기이다.

이 시기는 영적 성장에도 좋은 시기다. 많은 교회들이 제자훈련과 신학 수업을 제공하며, 청소년들이 믿음을 공개적으로 고백하고 교회 회원이 되는 입교식도 이 시기에 자주 진행된다. 예수께서 부활 후 40일째 하늘로 돌아가신 날을 기념하는 승천일도 이 절기에 포함되며, 교회들은 이어지는 주일에 승천 주일을 지킨다.

오순절(성일)
“오순절”의 영어 단어 Pentecost는 그리스어로 “50번째”를 뜻하며, 부활절 후 여덟 번째 주일이다. 성령이 사도들에게 임하여 여러 언어로 말하게 된 사건을 기념한다(사도행전 2장). 오순절은 종종 교회가 시작된 날로 여겨진다. 

예전 색상은 빨간색이며, 이는 성령의 불을 상징한다. 목회자와 평신도 모두 예배 시 빨간 옷을 입도록 권장되기도 한다. 부활절이 봄과 관련이 있다면, 오순절은 여름과 연결된다. 이날은 “모든 민족을 제자 삼으라”(마태복음 28:19–20)하신 교회의 사명을 재확인하고, 다양성 속의 연합을 축하하는 시기이다. 많은 교회가 다양한 언어로 찬송과 기도를 드린다.

오순절 후 연중 시기 (절기)
교회력의 마지막 절기이자 가장 긴 절기는 오순절에서 대림절까지 이어지며, 여름과 가을 대부분을 포함한다. 예전 색상은 다시 초록으로, 성장과 생명을 상징한다.

이 절기는 이름과 달리 다양한 교회 활동으로 풍성하다. 삼위일체 주일(오순절 후 첫 주일), 만성절(11월 1일), 왕이신 그리스도 주일(대림절 전 마지막 주일)이 포함된다. 많은 교회는 여름성경학교, 청소년 선교 여행, 여름 캠프 등을 이 시기에 연다.

결론

교회력은 교회와 목회자에게 예배, 설교, 제자 훈련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한다. 교회력을 따름으로써, 그리스도인들은 단순히 세상의 시간에 묶이지 않고 하나님의 시간(카이로스)안에 살게 된다. 이는 그들의 삶을 그리스도와 초기 교회의 삶에 연결하며, 하나님과 더 깊은 관계로 초대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